프리미어 프로 '울트라 키(Ultra Key)' 옵션 완벽 정리 - 그린스크린, 블루스크린 제거하기

프리미어 프로 '울트라 키(Ultra Key)' 옵션 완벽 정리 - 그린스크린, 블루스크린 제거하기

프리미어 프로 '울트라 키(Ultra Key)' 옵션 완벽 정리 - 그린스크린, 블루스크린 제거하기

프리미어 프로 울트라 키(Ultra Key) 옵션의 각 기능과 조정 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프리미어 프로의 울트라 키(Ultra Key)는 그린스크린이나 블루스크린 배경을 지울 때 사용하는 효과예요. 하지만 처음 보면 항목이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헷갈리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각 옵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조정하면 좋은지 예시와 함께 아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1️⃣ 매트 생성 (Matte Generation)


배경을 얼마나, 어떤 톤으로 지울지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 단계예요.

1. 투명도 (Transparency)

의미:
배경을 얼마나 강하게 지울지 정하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하면:
배경을 투명하게 만드는 강도를 조절하는 버튼이에요. 값을 높일수록 배경이 더 많이 사라집니다.

예시:
- 배경이 잘 안 지워지면 값을 높여보세요. (예: 40 → 60)
- 반대로 머리카락이나 옷 끝이 같이 사라진다면 값을 낮춰주세요.

팁:
값을 너무 높이면 인물의 일부까지 지워지니까, 화면을 보면서 천천히 조정하는 게 좋아요.

2. 밝은 영역 (Highlight)

의미:
얼굴처럼 밝은 부분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하면:
조명이 강해서 얼굴이 하얗게 빛날 때, 그 부분이 뚫리지 않게 조정하는 역할이에요.

예시:
- 얼굴이 너무 밝게 날아갔다면 값을 낮춰보세요. (10~30 정도)
- 배경이 전체적으로 밝은 초록색이라면 40~60 정도로 높여도 좋아요.

팁:
밝은 영역은 피부 질감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항상 조금씩만 조정하는 게 좋아요.

3. 어두운 영역 (Shadow)

의미:
옷이나 그림자처럼 어두운 부분이 얼마나 지워질지 조절하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하면:
어두운 옷이나 머리카락 속에 남은 초록빛을 없애는 용도예요.

예시:
- 검은 옷에 초록빛이 남아 있으면 값을 올려보세요. (50~70)
- 반대로 옷이 너무 투명하게 보이면 값을 낮춰보세요. (20~40)

팁:
어두운 영역은 인물의 형태를 살리는 부분이라 과하게 올리면 경계가 무너질 수 있어요.

4. 허용치 (Tolerance)

의미:
선택한 초록색과 비슷한 색까지 같이 지울지를 정하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하면:
배경의 색이 균일하지 않을 때, ‘이 정도까지 초록으로 보겠다’는 범위를 설정하는 거예요.

예시:
- 배경이 깨끗한 초록색이라면 20~50 정도.
- 배경에 그림자나 얼룩이 섞여 있으면 70~100 정도로 올려보세요.

팁:
값을 너무 높이면 인물의 피부나 옷 색까지 함께 지워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5. 페데스탈 (Pedestal)

의미:
남은 초록 테두리나 배경 잔상을 없애주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하면:
거의 다 지워졌는데 초록빛이 살짝 남았을 때 마무리로 정리하는 단계예요.

예시:
- 머리카락 끝이나 어깨 주변에 초록빛이 남으면 값을 올려보세요. (70~90)
- 이미 깔끔하다면 굳이 손댈 필요는 없어요.

팁:
페데스탈은 마지막 정리용이에요. 다른 값을 다 맞춘 뒤에 최종적으로 다듬을 때 사용하면 좋아요.

2️⃣ 매트 정리 (Matte Cleanup)

이 단계는 이미 지워진 배경의 가장자리(인물 테두리)를 다듬어서 더 자연스럽게 보이게 하는 과정이에요.

1. 경계 감소 (Choke)

의미:
인물의 가장자리를 안쪽으로 살짝 줄여 초록 테두리를 없애는 기능이에요.

예시:
- 인물 주위에 초록 테두리가 남아 있으면 2~5 정도로 올려보세요.
- 너무 많이 줄이면 머리카락 끝이 잘릴 수 있어요.

팁:
경계 감소는 아주 미세하게만 조정해야 자연스럽게 보입니다.

2. 부드럽게 (Soften)

의미:
딱 잘린 경계를 자연스럽게 흐리게 만드는 기능이에요.

예시:
- 경계가 너무 딱딱해 보이면 1~5 정도만 부드럽게 조정해보세요.

팁:
‘Choke로 깎고, Soften으로 다듬는다’는 식으로 두 값을 함께 쓰면 좋아요.

3. 대비 (Contrast)

의미:
인물과 배경의 경계선을 또렷하게 만드는 기능이에요.

예시:
- 인물의 윤곽이 흐릿하게 보이면 30~50 정도로 조정해보세요.

팁:
너무 높이면 경계가 인위적으로 보일 수 있어요. 화면을 보면서 자연스러울 만큼만 조정하세요.

4. 중간점 (Mid Point)

의미:
Contrast가 적용되는 기준을 어디에 둘지를 정하는 기능이에요.

예시:
- 인물이 너무 투명하게 보이면 40 이하로 낮추기.
- 배경이 완전히 지워지지 않으면 60 이상으로 올리기.

팁:
Contrast와 함께 조정해야 효과가 확실히 보입니다.

3️⃣ 번짐 억제 (Spill Suppression)

조명 반사로 인해 얼굴이나 옷에 남은 초록빛을 없애는 단계예요.

1. 채도 감소 (Desaturate)

의미:
초록빛의 진한 정도를 줄이는 기능이에요.

예시:
- 피부나 옷에 초록끼가 도는 경우 20~40 정도로 조정하면 좋아요.

팁:
너무 높이면 전체 색이 흐릿해질 수 있으니 적당히 조절하세요.

2. 번짐 (Spill)

의미:
초록빛 자체의 강도를 줄이는 기능이에요.

예시:
- 머리카락 끝이나 어깨 주변이 초록빛이라면 50~70 정도로 조정해보세요.

팁:
Desaturate보다 Spill을 먼저 조정하고 세부적으로 채도를 다듬는 순서가 자연스러워요.

4️⃣ 색상 교정 (Color Correction)

그린스크린을 지운 후, 인물의 색과 밝기를 조정해 자연스럽게 보이게 하는 마지막 단계예요.

1. 채도 (Saturation)

의미:
색의 진함(강도)을 조절하는 기능이에요.

쉽게 말하면:
화면을 얼마나 선명하고 생동감 있게 보이게 할지를 조절하는 버튼이에요.

예시:
- 얼굴이 창백하거나 회색빛이면 값을 높이세요. (120~140)
- 반대로 얼굴이 너무 붉거나 진하면 값을 낮추세요. (80~90)

팁:
그린스크린 작업 후엔 색이 약간 바래 보이는 경우가 많아서 보통 100~120 사이가 좋아요.

2. 색조 (Hue)

의미:
전체 색상의 방향, 즉 피부톤의 느낌을 바꾸는 기능이에요.

예시:
- 얼굴에 초록기가 돌면 +5~+10 정도.
- 얼굴이 너무 붉으면 -5~-10 정도로 살짝 조정.

3. 광도 (Luminance)

의미: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는 기능이에요.

예시:
- 인물이 어둡게 보이면 110~130 정도로 올리기.
- 조명이 너무 강해서 피부가 날아갔다면 80~90 정도로 낮추기.

팁:
밝기를 먼저 조정하고, 그 다음에 채도와 색조를 맞추면 전체 색감이 안정적으로 보여요.

이렇게 울트라 키의 각 옵션을 이해하고 순서대로 조정하면, 초보자라도 깔끔하고 자연스러운 그린스크린 영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처음엔 숫자보다 ‘화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눈으로 보면서 익혀보세요.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