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템플릿] 프리미어 프로 애플 뮤직 플레이어 템플릿 5종 세트

MP4? MOV? H.264? 코덱이랑 포맷이 대체 뭐야?

영상 파일 저장할 때마다 MP4, MOV, H.264.. 헷갈리셨죠? 이 글에서는 코덱과 포맷의 차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어요.


영상을 저장할 때 꼭 나오는 두 단어, 코덱과 포맷
영상 편집을 막 시작했을 때 이런 말 자주 들어보셨죠?

"코덱은 뭘로 설정했어?"
"MP4로 뽑았어?"
"그거 H.264 아니야?"

처음 들으면 무슨 암호 같기도 해요.
하지만 코덱(codec)포맷(format)은 영상을 만들고 저장하는 데 있어서 정말 중요한 개념이에요.
지금부터 이 둘이 무슨 역할을 하고, 뭐가 다른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파일 포맷이란? — 영상의 외형, 즉 '어떤 상자에 담을지'

포맷(format)은 영상 파일의 겉모양, 혹은 포장 박스라고 생각하면 돼요.

여러분 컴퓨터에 있는 영상 파일을 보면 .mp4, .mov, .avi 같은 확장자가 붙어 있죠?
이게 바로 포맷이에요. 즉, 영상이 어떤 ‘틀’ 안에 담겨 있는지를 나타내는 거예요.

이 틀(=파일 포맷)은 단순히 영상만 담는 게 아니라
그 영상과 연결된 소리, 자막, 설정값 같은 것도 함께 담을 수 있어요.
그래서 포맷을 흔히 ‘컨테이너(Container)’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 MP4: 가장 널리 쓰이는 포맷. 영상도 잘 나오고, 음성도 잘 나오고, 거의 모든 곳에서 문제없이 재생돼요. 유튜브에 올릴 때도 기본이죠.
  • MOV: 애플이 만든 포맷. 맥 환경에서 편집할 때 자주 사용돼요. 고화질에 적합하지만 용량은 좀 큰 편이에요.
  • AVI: 예전부터 쓰이던 포맷인데, 요즘은 다소 구식이 되었어요. 윈도우에서 간단히 영상 재생할 때는 괜찮아요.
  • MKV: 다양한 자막, 음성 트랙 등을 넣을 수 있어서 영화 감상용으로 인기가 많아요.

즉, 포맷은 “내 영상 파일을 어떤 박스에 담을 건가?”를 정하는 거예요.
그 안에는 영상도 있고, 소리도 있고, 다른 정보도 함께 들어 있을 수 있죠.

그럼 코덱은 뭐예요? — 영상의 속 내용, 압축 방식

코덱(codec)은 영상의 속 내용, 즉 파일 안에 든 영상이 어떤 방식으로 압축되어 있느냐를 말해요.

'코덱'이라는 말은
코더(Coder): 정보를 압축해서 저장하고
디코더(Decoder): 압축된 정보를 다시 풀어서 재생하는 기술
이 둘을 합쳐서 만들어진 단어예요. 즉, 압축하고,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거죠.

왜 압축이 필요하냐고요?

카메라로 찍은 영상은 용량이 엄청나게 큽니다.
그대로 저장하면 컴퓨터가 감당 못 할 정도로 무거워요.
그래서 그걸 코덱을 이용해서 작게 줄이되, 눈으로 보기엔 크게 손해가 없게 압축하는 거예요.

대표적인 코덱:

  • H.264 (AVC):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코덱이에요. 영상 화질과 용량의 균형이 아주 좋아요.
  • H.265 (HEVC): H.264보다 더 효율적으로 압축해줘요. 같은 화질이면 용량이 더 작아요. 다만 고사양이 요구돼요.
  • ProRes: 고화질 유지에 강한 코덱. 편집 시 화질 손상이 적어 전문가들이 많이 사용해요.
  • VP9, AV1: 오픈소스 기반의 차세대 코덱. 유튜브 등 스트리밍에 사용돼요.

포맷과 코덱의 관계

포맷(format)은 영상이 담긴 ‘외형’,
코덱(codec)은 그 안에서 어떻게 압축되었는지를 말해요.

비유하자면,
포맷 = 도시락통
코덱 = 도시락 안의 반찬을 싸는 법입니다.

같은 MP4 파일이라도 코덱이 H.264일 수도 있고, H.265일 수도 있어요.
반대로 MOV 파일 안에 H.264가 들어있을 수도 있죠.

그럼 초보자는 뭘로 저장해야 할까요?

MP4 + H.264 조합이 가장 무난하고 안정적이에요.
호환성도 좋고, 용량도 적당해서 입문자에게 추천드려요.

다만, 고품질 작업을 하거나 색보정, 이펙트 작업이 많다면
MOV + ProRes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요. 대신 용량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야 해요.

마무리하며

개념 의미 비유
포맷 영상이 담긴 겉모양 (.mp4, .mov) 도시락통
코덱 영상 안의 내용을 압축한 방식 (H.264, ProRes 등) 도시락 속 반찬 싸는 법

이제부터 영상 파일을 저장하거나 받을 때,
단순히 확장자만 보는 게 아니라 어떤 코덱으로 압축됐는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