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편집을 시작했는데, 뭔가 영상이 부드럽지 않고 끊겨 보인 적 있으신가요? 아니면 촬영한 영상을 넣었을 뿐인데, 영상과 소리가 어긋나거나 속도가 이상하게 느껴진 적은요?
이럴 때 가장 먼저 확인해봐야 하는 게 바로 '프레임레이트(Frame Rate)'예요. 처음 들으면 생소할 수 있지만, 영상을 만들고 편집할 때 정말 자주 마주치는 개념이기도 하죠.
이 글에서는 프레임레이트가 무엇인지, 자주 쓰이는 수치는 어떤 게 있는지, 그리고 영상의 분위기나 편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까지 하나씩 천천히 풀어볼게요.
프레임레이트란 무엇인가요?
영상은 사실 정지된 이미지들이 초당 여러 장씩 빠르게 재생되며 만들어지는 것이에요. 그 한 장 한 장을 ‘프레임’이라고 부르고, 1초에 몇 장의 프레임을 보여줄지를 나타낸 수치가 ‘프레임레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1초에 30장을 보여주면 30fps (frames per second), 60장을 보여주면 60fps라고 부르죠. fps가 높을수록 더 부드럽고 실감나는 영상이 만들어지지만, 그만큼 용량도 커지고 편집이 까다로워질 수 있어요.
자주 사용되는 프레임레이트 비교
프레임레이트 | 특징 / 분위기 |
---|---|
24fps | 영화나 드라마에서 주로 사용. 시네마틱하고 부드러운 느낌 |
30fps | 일반적인 유튜브 영상, 브이로그 등에 적합.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흐름 |
60fps | 게임 영상, 스포츠 하이라이트, 슬로우 모션용. 매우 선명하고 생생함 |
24fps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많이 사용돼요.
이 프레임레이트는 약간의 잔상이 느껴져서 사람의 눈에는 더 감성적이고 시네마틱한 느낌을 줘요.
그래서 영화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고 싶다면 24fps가 잘 어울리죠.
30fps는 유튜브나 브이로그 같은 일반 영상 콘텐츠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돼요.
움직임이 자연스럽고 편집 프로그램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어서,
처음 영상 편집을 시작하는 분들에게 추천되는 기본값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60fps는 훨씬 더 부드러운 영상이 필요할 때 사용돼요.
대표적으로 게임 영상, 스포츠 영상처럼 빠른 움직임을 정확하게 보여줘야 할 때 쓰이죠.
또한 슬로우 모션을 만들기 위해서도 자주 쓰이는 프레임레이트예요.
이처럼 어떤 영상을 만들고 싶은지에 따라 프레임레이트를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처음엔 30fps로 시작해서, 필요한 상황에 따라 24fps나 60fps로 확장해보는 걸 추천드려요.
슬로우 모션을 만들고 싶다면?
슬로우 모션 효과를 자연스럽게 만들려면 촬영할 때부터 프레임레이트를 높게 설정해야 해요. 예를 들어, 60fps로 촬영한 영상을 30fps로 재생하면 부드럽게 느려지는 슬로우 모션이 완성됩니다.
반대로 24fps로 찍은 영상을 느리게 하면 뚝뚝 끊기고 어색하게 보여요. 그래서 슬로우 모션을 염두에 둔 촬영이라면 60fps 이상으로 촬영하는 것이 기본이랍니다.
편집 시에도 꼭 맞춰야 할까?
촬영한 영상의 프레임레이트와 편집 시퀀스의 프레임레이트가 다르면 영상이 어색하거나 깨지는 경우도 있어요. 예를 들어 60fps 영상 파일을 24fps 타임라인에 넣으면,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사라지고 부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어요.
프리미어 프로나 다빈치 리졸브 같은 편집 프로그램에서는 시퀀스를 만들 때 fps를 선택할 수 있으니, 처음부터 원하는 프레임레이트를 맞추는 것이 좋아요.
그럼 유튜브 영상은 몇 fps로 만들어야 할까요?
처음 유튜브 영상을 만든다면 30fps가 가장 무난합니다. 대부분의 시청자 환경과 호환성이 좋고,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거든요.
게임 영상이나 고속 움직임이 많은 콘텐츠라면 60fps도 추천돼요. 다만, 60fps는 그만큼 컴퓨터 사양과 저장 공간이 더 필요하니 편집 초보자라면 30fps로 충분히 시작할 수 있어요.
정리하자면…
- 프레임레이트는 영상의 ‘매끄러움’을 결정하는 요소예요.
- 24fps → 영화 같은 느낌 / 30fps → 브이로그, 유튜브 / 60fps → 게임, 스포츠, 슬로우모션
- 슬로우 모션은 60fps 이상으로 촬영한 영상에서만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어요.
- 처음 편집할 때는 30fps로 시작하고, 익숙해지면 다양하게 시도해보세요!
댓글 쓰기